MIDI를 이용한 마비노기 작곡 가이드 3/3
마비노기/작곡 2023. 10. 5. 01:14 |3. 음표 수정
미디를 이용해 옮긴 MML은 전체적으로 음 길이에 하자가 많다.

당장 뭐 이런거라던가...

이런거.
진짜 미디같이 정밀한 노트 표현은 마비꼬, 아니 MML 시스템 상에선 불가능하므로 이러한 부분들을 고쳐줘야한다.
이번 장에선 뭐가 문제고 어떻게 고쳐야하는지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일단 위에 있는 저 음표.

마비노기 상에서 최소 음표 길이는 1/64, 잇단 음표를 사용하면 1/48까지 표현 가능하다.
그러니 그 범위 밖에 있는 것들을 찾아서 음길이를 정상적으로 맞춰줘야한다. 애초에 저렇게 어긋난 상태론 인게임에서 제대로 연주가 될지 장담도 못하는 상황
이것을 어떻게 구분하느냐?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1. 배경의 격자 길이로 판단하기
마비꼬에서 최소 음표 길이는 최대한 확대했을때 기준 2칸이다. 만약 1칸 혹은 그 이하의 칸에 걸치고 있다면 높은 확률로 어긋난 음표일것이다. 이걸 수정하는 방법은 악보마다, 작곡가마다 다 다르므로 패스. 청음을 하면서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구간에 끼워맞추자
2. 음표의 앞 혹은 뒤를 눌러보며 맞추기

이 두 음표 (넘패드 0, 7)를 선택 후

이렇게 음표의 앞 뒤를 눌러서 빈틈없이 제대로 끼워맞춰지는지 확인하거나,

올바른 음표 길이를 설정한 후, 음표의 끝을 눌렀을때 저렇게 늘어나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늘어나면 제대로 된 정규 음표가 아니라는 소리

특히 이런 부분은 코드 다이어트 측면에서도 좋지 않고, 보기에도 괴롭다.
귀찮다고 대충 넘기지말고 하나하나 꼼꼼히 살피며 음표 수정과 최적화 작업을 거쳐야한다.

특히 이런 gliss는 경험 상 100퍼 음표가 어긋나므로 점검이 필수
여기까지 진행했다면 미디를 MML로 옮기는 작업은 사실상 끝이며, 나머진 작업자의 센스에 따라 악기를 매칭하고

이런 식으로 과도하게 늘어난 트랙을 병합하는 등 최적화 작업을 거치면 끝이다. 이 후 부분은 MIDI를 이용한 작곡보단 작곡의 기초에 대한 강좌에 가까우므로 MML 작곡 강좌가 친절하게 설명된 MML 연구소의 링크를 남기고 가이드는 여기서 끝마친다.
다음 가이드는 코드 다이어트에 관하여...를 다뤄볼 예정
마비노기 MML연구소
www.mabicompose.com
'마비노기 > 작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율음에 대해 알아봅시다 (2) | 2024.01.09 |
---|---|
MML의 코드 다이어트에 관하여 (0) | 2023.10.05 |
MIDI를 이용한 마비노기 작곡 가이드 2/3 (0) | 2023.10.04 |
MIDI를 이용한 마비노기 작곡 가이드 1/3 (1) | 2023.10.04 |
마비노기 튜닝 현악기(바이올린, 첼로) 작곡 팁 (0) | 2023.02.21 |